오래전에 강남구 도곡동에 있는 부동산 개발회사(예전 회장님)를 다닐 때에 개포동 조합 감사님은 자기 아들이 저와 나이가 비슷하고 한양대 공대를 나왔는데 그 당시 중요한 자격증을 취득하였다고 하면서 자랑을 하였습니다.
대단한 자격증이냐? 물으니 상당히 알아주는 환경 및 화학 관련 최고 자격증이라고 하면서 대견해 하셨습니다.
이 얘기를 듣고있던 국토부 고위공무원 출신분은 이대로 질 수는 없다고 생각하셨는지! 자기 아들은 미국 코넬대학교를 나왔다고 하면서 "맞불"'을 놓았습니다.
흙수저 출신에 밥먹고 살기도 힘든 저에게는 모두 "그들만의 리그" 얘기들이었는데... ㅎㅎ
미국 유학이나 한국 사립대학교는 커녕 매일 쌀밥에 계란 후라이라도 먹고 사는 것이 서민들의 일상이 아니겠습니까? ㅎㅎ
그러면 과연 그 "코넬대학교"가 얼마나 대단하길래~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조사를 해 보았습니다.
코넬 대학교(Cornell University)는 미국 뉴욕주 이타카에 소재한 아이비 리그 소속의 사립 대학교이다.
지금까지 총 61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코넬대 출신이다. 또한, 미국 내에서 가장 많은 의사를 배출한 대학으로 알려져 있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미식축구와 아이스하키가 인기를 끌며, 대표적인 전공으로 농업, 의학, 노사관계학, 호텔경영학, 컴퓨터공학, 생명과학, 통계학, 건축학, 경제학, 커뮤니케이션학 등이 있다. 학업 난이도가 매우 높고 극심한 성적 디플레이션 현상 때문에 학생 만족도 조사에서 비교적 낮은 순위를 기록하기도 한다. 코넬대 출신자가 설립한 유명 기업으로는 버거킹, 퀄컴 등이 있다.
뉴욕주 내륙의 이타카(Ithaca)라는 작은 도시에 위치해 있는데, 이 도시에 Ithaca College와 Tompkins County Community College(TC3)까지 총 세 개의 대학이 있어서 '대학 도시'(Collegetown)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9월부터 4월까지 날씨가 좋지 않아 Shithaca(Shit + Ithaca)라는 별칭이 있을 정도.
설립자 에즈라 코넬의 말에(현재 학교의 교훈) 모든 것이 요약된다고 할 수 있다. 코넬의 경우, 설립 당시부터 인종, 성별, 계층에 구애받지 않는 진보적 대학을 세우겠다는 뚜렷한 목표를 갖고 있었기에, 타 아이비 리그 같이 전통적인 엘리트 양성을 목표로 했던 다른 대학들과는 구분되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아이비 리그 대학들이 집중하는 전통적 학문 이외에도, 건축학, 공학, 농업학, 수의학, 노사관계학, 호텔경영학 등 새로운 학문에도 많은 역량을 투자하여 현재 이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최초로 수의학 전문 대학원을 설립한 대학이기도 하다. 그중에서도 건축학은 미국 최초로 설립된 단과대학이다. 때문에 다른 아이비 리그 학교에서 코넬 공대로 편입해오는 학생들도 가끔 보인다.
2022-2023 US News & World Report 순위에 따르면 산업공학 4위, 생물학/농업공학/재료공학 8위, 전기전자/환경공학 10위로 다수의 공학계열 전공들이 최상위권에 속해있어 앞서 말했듯 공대가 약세인 아이비 리그지만 코넬대학교는 수준 높은 공대를 보유하고 있다.
물론 명색이 아이비 리그인 만큼 전통적인 학문도 당연히 매우 뛰어나다. 영문학, 사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물리학, 생명과학, 수학, 통계학, 컴퓨터과학, 의학, 법학, 경영학 등 여러 분야에서 보통 전미 10위권 내외에 위치하는 명성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특정 분야에 편중되지 아니한 전반적인 강세는미국에서도 흔치 않은 편인데[4]학생 입장에서는 다양한 범위에 걸친 우수한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또한, 설립 직후인 1868년에 아이비 리그 최초로 여학생의 입학을 허용하고,[5] 유학생이나 편입생에게도 많은 기회를 주고 있는 이유 역시 이러한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심지어 전부 개신교 기반인 다른 아이비 리그 대학들과 달리 채플도 만들지 않겠다는 설립자의 의사가 있었으나, 설립자가 유럽 여행 중일 때 초대 총장이 몰래 만들어 놓았다. 기가 막힌 설립자는 '모든 종교가 같이 쓴다'는 조건 하에 허락해 줬다고 하며, 그래서 지금도 여러 종교가 같은 채플을 돌려쓰고 있다.
코넬 대학교/출신 인물
펄 벅: 미국의 소설가, 노벨문학상 수상
크리스토퍼 리브: 슈퍼맨의 대명사인 배우
차이잉원: 중화민국 최초의 여성 총통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미국 역사상 두 번째 여성 연방대법관
빌 나이: 미국의 과학교육자이자 방송인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NIAID) 소장
토마스 핀천: 미국의 대표 포스트모더니즘 작가
토니 모리슨: 미국의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
커트 보니것: 미국의 SF 작가
빌 마허: 미국의 코미디언
존 루빈스타인: 애플의 전 수석 엔지니어, 아이팟의 아버지
로먼 재키브: 미국의 물리학자, 피천득의 사위
노버트 위너: 미국의 컴퓨터과학자, 수학자, 철학자
제임스 맥라모어: 버거킹 설립자
어윈 제이콥스: 퀄컴 설립자
스티븐 와인버그: 미국의 물리학자,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헨리 모겐소 Jr.: 미합중국 제52대 재무장관
셸던 리 글래쇼: 미국의 물리학자,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에릭 베치그: 미국의 물리학자, 노벨화학상 수상자
휴이 루이스: 미국의 록밴드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의 리더
클라우디아 골딘: 미국의 경제학자,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윌리스 캐리어: 전기식 에어컨의 최초 발명자이자 캐리어사의 창립자
존 홉필드: 미국의 물리학자,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윌리엄 새들러: 미국의 영화배우[1]
하워드 혹스 : 미국의 영화감독
고든 창: 미국의 변호사, 시사평론가
마크 준코사: 스페이스X(SpaceX) 부사장
재닛 리노: 미합중국 최초의 여성 법무장관
해럴드 블룸: 미국의 저명한 문학평론가
토마스 미즐리 - 유연가솔린 및 프레온가스 발명자.
저스틴 H. 민: 미국의 배우. 엄브렐러 아카데미에 출연했다.
델마 스쿤메이커: 미국의 영화 편집자. 아카데미 편집상 최다 수상자.
에드워드 M. 하우스:미국의 정치인이자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고문
존 미어샤이머: 미국의 정치학자
프랜시스 후쿠야마: 미국의 정치학자
아서 겐슬러: 건축회사 Gensler 창업자
폴 그레이엄: Y Combinator 창업자
송상현: 前 국제형사재판소장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최상목: 제7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오천석: 제8대 문교부장관(現 교육부장관)
양윤세: 제2대 동력부장관(現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갑영: 제17대 연세대학교 총장
옥지원: 대한민국 정당인
백성기: 제5대 포항공과대학교 총장
백범석: 경희대학교 국제대학 교수, 현 UN 인권위원회 자문위원
정해찬: 신세계그룹 장남
이규호: 코오롱그룹 장남
서민정: 아모레퍼시픽그룹 장녀
박하민: 미래에셋그룹 장녀
윤석호 : 디베이트코리아 대표, 코넬대학교 디베이트 코치
[ 결 론 ]
코넬대학교 1학기 학비 AI 답변.
1학기 총 비용:
학비: $31,690 (약 44,366,000원)
주거 비용: $6,148 (약 8,617,200원)
총합: 약 $37,838 (약 52,983,200원)
코넬대학교의 1학기 학비는 약 $37,838로, 이는 학비와 주거 비용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추가적으로 교재비, 식비, 건강보험료 등 기타 생활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이를 고려하여 예산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비도 비싸고 대단한 학교인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영화, 정치, 경제, 스포츠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외국어대. (0) | 2025.04.20 |
---|---|
성수동 주요 부동산 개발. (5) | 2025.04.16 |
상봉터미널 개발, 상봉동 이마트 폐점 및 개발 (0) | 2025.04.15 |
금남로 5가역 생활형숙박시설 → 오피스텔로 전환 중. (1) | 2025.04.15 |
다윗의 왕국: 기름부음 받은 청년. (0) | 2025.04.09 |